The Study on the Buddhist Interpretation of Shen(神) in Zongbing(宗炳)’s "Mingfu-Lun(「明佛論」)"

위진남북조 불교사상의 이해는 현학과의 관련 속에서 가능하다. 중국의 전통적 사유로서의 현학은 불교의 수용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당시의 불교계는 이러한 현학적 논리를 통해 불교의 주요 개념을 설명했다. 그 중에서 주목되는 것은 ‘형신 논쟁’으로, 인과와 윤회의 문제를 포함한 인간의 생사문제에 대한 것이다. 구마라집 등의 불경 번역으로 주요 개념의 이해가 성숙됨에 따라, 이 논쟁의 양상이 변화하게 된다. 특히 「명불론」은 현학의 불교적 해석과 불교의 현학적 해석이 나타난 논문으로, 그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예컨대 공의 번역...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Kim, Seokjoo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9
In: Chongkyo yŏnku
Year: 2019, Volume: 79, Issue: 2, Pages: 99-129
Further subjects:B Shen(神, spirit or god)
B Nirvana
B permanent
B Dharmakaya
B 불멸
B 본무
B 법신
B 열반
B Emptiness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MARC

LEADER 00000naa a22000002 4500
001 185981851X
003 DE-627
005 20230918121916.0
007 cr uuu---uuuuu
008 230918s2019 xx |||||o 00| ||kor c
024 7 |a 10.21457/kars.2019.08.79.2.99  |2 doi 
035 |a (DE-627)185981851X 
035 |a (DE-599)KXP185981851X 
040 |a DE-627  |b ger  |c DE-627  |e rda 
041 |a kor 
084 |a 0  |2 ssgn 
100 1 |a Kim, Seokjoo  |e VerfasserIn  |4 aut 
245 1 0 |a The Study on the Buddhist Interpretation of Shen(神) in Zongbing(宗炳)’s "Mingfu-Lun(「明佛論」)" 
264 1 |c 2019 
336 |a Text  |b txt  |2 rdacontent 
337 |a Computermedien  |b c  |2 rdamedia 
338 |a Online-Ressource  |b cr  |2 rdacarrier 
520 |a 위진남북조 불교사상의 이해는 현학과의 관련 속에서 가능하다. 중국의 전통적 사유로서의 현학은 불교의 수용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당시의 불교계는 이러한 현학적 논리를 통해 불교의 주요 개념을 설명했다. 그 중에서 주목되는 것은 ‘형신 논쟁’으로, 인과와 윤회의 문제를 포함한 인간의 생사문제에 대한 것이다. 구마라집 등의 불경 번역으로 주요 개념의 이해가 성숙됨에 따라, 이 논쟁의 양상이 변화하게 된다. 특히 「명불론」은 현학의 불교적 해석과 불교의 현학적 해석이 나타난 논문으로, 그 변화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예컨대 공의 번역어 중 하나인 본무의 해석, 신명으로서의 법신 개념, 성인과 화신, 본신합일로서의 열반 해석, 신불멸로서의 법신상주 등의 논리에서 당시의 불교사상의 이해의 단면이 드러난다. 이러한 바는 이후 열반과 불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신 개념은 당시의 불교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라 할 수 있다. 
520 |a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Buddhist thought in relation to neo-Taoism in the Six Daynsties. Neo-Taoism plays a key role in the acceptance of Buddhism. The Buddhist of those days explained the main concepts of Buddhism through neo-Taoism logic. This study focuses on ‘the argument about body(形) and mind(神)’, which is about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including the matter of causality and samsara. This argument had changed an aspect because of the maturity of understanding the Buddhist concepts with the interpretation of Buddhist cannon by Kumarajiva. Especially "Mingfu-lun" shows the changed aspect which is the treatise on the Buddhist interpretaion about the Chinese concepts. For example, ‘the essential nothing’ is ‘emptiness’, ‘spiritual intelligence’ is ‘Dharmakaya’ and ‘imperishability of the soul’ is ‘permanent of Dharmakaya’. These concpets is a critical clue of the understanding of the Shen(神) concept and the Buddhist thought of those days,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ussion on Nirvana and Buddha-nature. 
601 |a Buddhist 
601 |a Interpretation 
650 4 |a Dharmakaya 
650 4 |a Nirvana 
650 4 |a Shen(神, spirit or god) 
650 4 |a Emptiness 
650 4 |a permanent 
650 4 |a 법신 
650 4 |a 본무 
650 4 |a 불멸 
650 4 |a 신 
650 4 |a 열반 
773 0 8 |i Enthalten in  |t Chongkyo yŏnku  |d Seoul : Han gog jong gyo hag hoe, 1972  |g 79(2019), 2, Seite 99-129  |h Online-Ressource  |w (DE-627)1669088758  |w (DE-600)2977879-7  |7 nnns 
773 1 8 |g volume:79  |g year:2019  |g number:2  |g pages:99-129 
856 4 0 |u http://koars.org/45  |x Verlag  |z lizenzpflichtig  |3 Volltext 
856 4 0 |u https://doi.org/10.21457/kars.2019.08.79.2.99  |x Resolving-System  |z lizenzpflichtig  |3 Volltext 
951 |a AR 
ELC |a 1 
LOK |0 000 xxxxxcx a22 zn 4500 
LOK |0 001 4377406493 
LOK |0 003 DE-627 
LOK |0 004 185981851X 
LOK |0 005 20230918121916 
LOK |0 008 230918||||||||||||||||ger||||||| 
LOK |0 040   |a DE-Tue135  |c DE-627  |d DE-Tue135 
LOK |0 092   |o n 
LOK |0 852   |a DE-Tue135 
LOK |0 852 1  |9 00 
LOK |0 935   |a ixzs  |a ixzo  |a rwrk 
ORI |a SA-MARC-ixtheoa001.raw 
REL |a 1 
STA 0 0 |a Nirvana,Nirvana 
STB 0 0 |a Nirvana,Nirvana 
STC 0 0 |a Nirvana,Nirvana 
STD 0 0 |a Nirvana,Nirvana 
STE 0 0 |a 涅盘,涅盘那,般涅盘 
STF 0 0 |a 涅槃,涅槃那,般涅槃 
STG 0 0 |a Nirvana,Nirvana 
STH 0 0 |a Нирвана (мотив),Нирвана 
STI 0 0 |a Νιρβάνα (μοτίβο),Νιρβάνα 
SUB |a REL 
SYE 0 0 |a Nirwana,Nirvāṇa,Nibb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