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licts over Making Pilgrimage Sites in Contemporary Korean Religion: Sanctuarizing, Pilgrim Way, Public Sacred Site

한국은 다양한 종교 전통이 대등한 영향력을 가지고 공존하고 있으나, 그들 사이의 직접적인 충돌은 심각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순례지 조성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문제는 종교 교단들만이 아니라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시민사회, 학계 등 다양한 행위자들과 연관되어 있으나, 이 문제를 둘러싼 기본적인 개념들이나 구현되어야 할 가치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부족한 상태다. 이 글은 순례지 조성과 갈등의 문제를 크게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첫째, 20세기까지 순례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Han, Seung-hoo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2
In: Chongkyo yŏnku
Further subjects:B Tourism
B Pilgrim Way
B 순례지
B 관광
B 성역화
B Public Sacred Site
B Sanctuarizing
B 순례길
B pilgrimage site
B 공공성지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한국은 다양한 종교 전통이 대등한 영향력을 가지고 공존하고 있으나, 그들 사이의 직접적인 충돌은 심각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순례지 조성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문제는 종교 교단들만이 아니라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시민사회, 학계 등 다양한 행위자들과 연관되어 있으나, 이 문제를 둘러싼 기본적인 개념들이나 구현되어야 할 가치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부족한 상태다. 이 글은 순례지 조성과 갈등의 문제를 크게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첫째, 20세기까지 순례지 조성의 주된 형태였던 ‘성역화’에 대한 해석이다. 부지의 확보, 기존 경관의 ‘정화’, 다양한 시설의 설치를 특징으로 하며, 그것은 1960년대 이후 국가주의적 기념 공간 조성의 형식을 모방한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21세기 이후 정부의 관광 활성화 정책과 연계된 ‘순례길’ 유형에 대한 논의다. 이것은 기존의 경관을 유지하는 가운데 일정한 테마의 장소들을 연결해 관광객을 유치하는 형태다. 셋째, 최근 독점적, 상업적 순례지 조성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된 ‘공공성지’ 개념에 대한 고찰이다. 아직 구체적으로 실현된 사례를 찾기 어렵지만, 이것은 종교 전통들의 언어에 한정되지 않는 공적 가치를 구현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 이 개념들은 현대 한국 종교에서의 순례지 조성을 둘러싼 갈등을 보다 명료하게 서술하기 위해서 제안되었으며, 이 주제에 대한 보다 생산적인 토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Korea, although various religious traditions coexist with equal influence. no serious direct conflicts have occurred between them. However, cases of social conflicts over the making of pilgrimage sites are increasing. This issue is related to religious organizations, alongside various agents such a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sidents, civil society, and academia. However, there is a lack of social consensus on the basic concepts surrounding it and the values to be implemented. This article analyzes the problems of making pilgrimage sites through three keywords. First, it is an interpretation of Sanctuarizing, which was the main form of making pilgrimage sites until the 20th century. It is characterized by securing land, "purifying" the existing landscape, and installing various facilities, and it is confirmed that it mimics the form of nationalist commemorative space creation since the 1960s. Second, it is a discussion on the type of Pilgrim Way linked to the government’s activation of tourism policy after the 21st century. This is a form of attracting tourists by connecting places with certain theme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landscape. Third, i t is a r eview of t he c onc ept of t he Public Sacred Site that has been recently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the exclusive and commercial mechanism of making pilgrimage sit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find concrete implementation examples yet, it is noteworthy that this is an attempt to realize public values that are not limited to the language of religious traditions. These concepts were proposed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conflicts over the making of pilgrimage sites in contemporary Korean religion,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more productive discussion on this issue.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2.12.8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