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itiation Ritual of Eastern Learning

동학은 기존의 한국종교문화와는 다른 새로움을 창출해냈으며 이후 여러 신종교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동학 공동체는 우리나라에 유입된 기독교처럼 배타적인 멤버십(exclusive membership)을 토대로 한 종교 커뮤니티라 볼 수 있다. 기독교에서 전도를 통한 입교(入敎)와 배교(背敎) 및 탈교(脫敎)가 있었던 것처럼 동학에서도 ‘포덕(布德)’을 통한 입도(入道)와 탈퇴를 뜻한 반도(反道)가 있었다. 이러한 동학의 ‘포덕’과 ‘입도’는 기존의 한국종교문화에 쓰이지 않았던 새로운 용어이다. 즉 기존에는 도를 닦는 ‘수도(修...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Park, Ingyu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2
In: Chongkyo yŏnku
Year: 2022, Volume: 82, Issue: 3, Pages: 63-89
Further subjects:B 동학서
B New Religious Movements
B missionary work
B 포덕
B 동학
B Eastern Learning
B 입도
B 입도의례
B the initiation ritual
B Donghakseo
B 신종교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동학은 기존의 한국종교문화와는 다른 새로움을 창출해냈으며 이후 여러 신종교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동학 공동체는 우리나라에 유입된 기독교처럼 배타적인 멤버십(exclusive membership)을 토대로 한 종교 커뮤니티라 볼 수 있다. 기독교에서 전도를 통한 입교(入敎)와 배교(背敎) 및 탈교(脫敎)가 있었던 것처럼 동학에서도 ‘포덕(布德)’을 통한 입도(入道)와 탈퇴를 뜻한 반도(反道)가 있었다. 이러한 동학의 ‘포덕’과 ‘입도’는 기존의 한국종교문화에 쓰이지 않았던 새로운 용어이다. 즉 기존에는 도를 닦는 ‘수도(修道)’였다면 동학에서는 동학의 도에 참여하는 ‘입도’를 행한다. 곧 동학의 도는 참여하는 것이자 믿는 것이며 동시에 닦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규장각 소장 문서인 『동학서』를 통해 당시 동학 공동체에서 입도의례가 어떻게 행해졌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입도’는 종교공동체에 가입한다는 점에서 천주교와도 상통하나 입도의례의 과정은 주문의 전수와 치제의식이라는 점에서 천주교와는 차별된다. 치제에서 분향하고 설위하며 독축하는 형태는 유교 전통의 제사와 크게 다르지는 않다. 이점에서 동학의 입도와 입도의례는 배타적인 종교 공통체에 가입하며 전래의 제사의식을 행하는 새로운 의례 형태라 볼 수 있다.
Eastern Learning created a new religious culture that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Korean religious culture, and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several new religions. In particular, the community of Eastern Learning can be seen as a religious community based on exclusive membership, like that of the Christianity that was introduced into Korea. Just as there was entry into Christianity through evangelism, apostasy, and abandonment, in Eastern Learning, there is also ‘Ipdo(入道)’ meaning entry into a community, and ‘Bando(反道)’ meaning withdrawal from said community. These ‘Podeok(布德)’ and ‘Ipdo’ concepts of Eastern Learning are novel terminologies that were not used in the existing Korean religious culture. In other words, if in the past acquiring "the way" (cultivation, 修道) was emphasized, in Eastern Learning, participation in "the way" (Ipdo) was of pinnacle importance; Eastern Learning requires simultaneous participating, believing, and cultivat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entrance ceremony was conducted in Eastern Learning through Donghakseo(東學書) in the collection of Kyujanggak (奎章閣). ‘Ipdo’ is analogous with Catholicism in that it joins a religious community, but it diverges from Catholicism in that the process of the rite of entry is the transmission of incantations and the ceremony of sacrificial service. The act of burning incense, giving offerings, and congratulating the people at an Ipdo ceremony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fucian ancestral rites. In this respect, the entry and entrance rites of Eastern Learning can be seen as a new form that juxtaposes an exclusive religious community with traditional ancestral rites.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2.12.82.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