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uses and Current Evaluation of the Shinchuk Roman Catholic Trouble, focusing on the Catholic Church

2021년은 신축교안 12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하여 여러 행사들이 제주도 내에서 진행되었다. ‘화해’가 주된 담론으로 등장하고 있지만, 아직도 제주도민 사회와 천주교회 사이엔 서먹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그것은 서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는 신축교안 당시 제주도민들이 처했던 상황을 분석한 연구에 비해 천주교회가 처한 상황을 분석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도 한몫했다고 본다. 이 논문은 그동안 관심 밖에 있었던 신축교안 당시 천주교회가 처한 상황을 돌아보고, 그들이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Kim, Seonpil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1
In: Chongkyo yŏnku
Year: 2021, Volume: 81, Issue: 3, Pages: 49-78
Further subjects:B Respecting Culture
B 신축교안
B 공동선
B 문화 존중
B Civilizing Mission
B Catholic Church
B 천주교
B Shinchuk Roman Catholic Trouble
B Common Good
B 문명화의 사명
B 박해 트라우마
B 제주
B Jeju Island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2021년은 신축교안 120주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이를 기념하여 여러 행사들이 제주도 내에서 진행되었다. ‘화해’가 주된 담론으로 등장하고 있지만, 아직도 제주도민 사회와 천주교회 사이엔 서먹한 분위기가 감지된다. 그것은 서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는 신축교안 당시 제주도민들이 처했던 상황을 분석한 연구에 비해 천주교회가 처한 상황을 분석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도 한몫했다고 본다. 이 논문은 그동안 관심 밖에 있었던 신축교안 당시 천주교회가 처한 상황을 돌아보고, 그들이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도민 사회와 천주교회가 균형 있게 서로를 이해하고, 진정한 화해의 여정을 걸어가는 데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천주교회는 18세기 후반부터 약 100여 년 간 국가와 사회로부터 지속적인 박해를 받아왔다. 그런데 상황이 급변했다. 한불조약 이후 선교사들이 치외법권적 지위를 얻게 되었던 것이다. 교회 구성원들은 교회를 보호하기 위해, 천주교를 전파하기 위해 다소 과격한 행동도 서슴지 않았다. 안타깝게도 그러한 천주교회의 태도는 지역 사회와의 충돌을 불러일으켰다. 전국에서 다수의 교안이 벌어졌다. 이런 배경에서 벌어진 사건이 신축교안이었다. 사실 신축교안 당시 천주교회는 배타적인 시선으로 선교지 문화를 바라보고 있었고, 계속된 박해 속에서 교회 보호를 최우선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물론 그것은 오늘날 천주교회의 입장과는 다르다. 천주교회는 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1965)를 계기로 세상을 향해 문을 열어젖혔고, 교회 보호를 넘어 사회의 공동선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 천주교회는 과거의 일에 대한 성찰과 반성 그리고 화해의 작업을 진행해왔다. 오늘날 신축교안에 대한 천주교회의 전향적인 태도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도민 사회와 천주교회가 서로에 대해 공감할 수 있다면, 가해자와 피해자, 영웅과 순교자라는 이분법적인 대립과 대치를 넘어 참된 화해와 상호인정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year 2021 marks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Shinchuk Roman Catholic Trouble. Although ‘Reconciliation’ is the main discourse of the Jeju community, an awkward atmosphere is still felt between Jeju society and the Catholic Church. Because they lack a deep understanding of each other.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relatively few studies on the situation faced by the Church compared to the studies on the situation faced by the local Jeju community at the time of the Trouble.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hope of increasing understanding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hurch to begin a radical reconciliation journey through looking back on the situation faced by the Church at the time of the Trouble. The Church has been continuously persecuted by the Joseon Dynasty and society for about 100 years since the late 18th century. However, the situation began to change rapidly in the late 19th century. After the Korea-France Treaty of 1886, French missionaries gained extraterritoriality and therefore did not hesitate to protect the Church. Unfortunately, this attitude of the Church caused conflict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a number of Roman Catholic Troubles took place across the country. Against this background, the incident that took place on Jeju Island was the Trouble. At that time, 1901, the Church looked at the local culture with a closed perspective, and through continued persecution experiences, it was forced to prioritize the protection of the Church. Of course, it is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e Catholic Church today. This is because the Church opened the door to the world in the wake of Vatican Council II (1962-1965), and it considers it more important to act for the common good of citizens beyond Church protection. Amid these changes, the Church has been working on reflection on and reconciliation with past events. Today, the Church"s forward-looking attitude toward the Trouble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If the Jeju community and the Church can empathize with each other, I expect that they will be able to move beyond the dichotomy and confrontation between perpetrators and victims, heroes and martyrs, to a path of radical reconciliation and mutual recognition.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1.12.81.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