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oul-delivering(薦度) Rituals of Won-Buddhism: The Inheritance and Rupture of Tradition

본 연구는 근대 한국종교의 하나인 원불교의 천도의례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천도재(薦度齋)의 행위와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통불교와의 관계, 현대종교로서의 원불교의 정체성을 고찰하고 있다.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서 정착한 천도재는 한국불교에 와서 하나의 망자의례(亡者儀禮)로 정착했다.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면서 불교문화를 풍요롭게 했다. 그러나 점점 번잡하고 형식에 치우치게 되었다. 근대불교계는 이러한 천도의식을 혁신하고자 했다. 원불교 또한 개혁불교, 참여불교, 대중불교로서 일상적인 의례는 물론 죽음의례의 혁신을 시도했다. 본문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Won, Yongsang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1
In: Chongkyo yŏnku
Further subjects:B Code of Rites (禮典)
B 대승불교
B 『예전』
B 천도재
B 성불제중(成佛濟衆)
B Won-Buddhism
B 원불교
B 인도(人道)
B An intermediate state(中陰)
B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th(薦度齋)
B Mahayana Buddhism
B Human way(人道)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본 연구는 근대 한국종교의 하나인 원불교의 천도의례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천도재(薦度齋)의 행위와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통불교와의 관계, 현대종교로서의 원불교의 정체성을 고찰하고 있다.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서 정착한 천도재는 한국불교에 와서 하나의 망자의례(亡者儀禮)로 정착했다.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면서 불교문화를 풍요롭게 했다. 그러나 점점 번잡하고 형식에 치우치게 되었다. 근대불교계는 이러한 천도의식을 혁신하고자 했다. 원불교 또한 개혁불교, 참여불교, 대중불교로서 일상적인 의례는 물론 죽음의례의 혁신을 시도했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원불교 천도재의 기원과 혁신의 배경에 대해 논하고 있다. 원불교 『예전』이 나오던 시기는 일제의 의례혁신, 불교계의 근대적 의례 구축 등의 변화가 있었다. 원불교 또한 이러한 영향과 불교개혁의 입장에서 의례를 재구축했다. 천도재도 근대적 혁신이라고 할 수 있지만, 불법의 근본정신을 더욱 현대화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천도의례의 구조에서 명확히 알 수 있다. 또한 망자로 하여금 모든 업(業, karman)을 청산하고, 바른 깨달음에 이르도록 하는 대승불교의 정신을 고취시키고 있다. 그러나 원불교의 천도재는 선도(善道)로서의 인도(人道)에 태어나기를 발원하는 점에서 전통불교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망자로 하여금 인간계에 태어나 불법의 가르침을 통해 영혼의 불생불멸성(不生不滅性)을 깨닫고 불국토에 안주하도록 하는 배려라고도 할 수 있다. 이는 근대적 의미의 합리적 사고에 의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원불교 천도재에는 개인의 숙명적 인과론을 중심으로 개인의 업을 강조함으로써 사회적 구조와 제도의 한계를 등 한시하는 문제, 깨달음을 향한 고준한 불법의 가르침만이 아니라 나약한 인간의 한계를 타력 구제에 의한 희망으로 승화시키는 문제 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oul-delivering rituals of Won-Buddhism, one of modern Korean religions. Especially, it studies identity of Won-Buddhism as contemporary religion by analyzing acts and contents of the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th(薦度齋). The consolation ceremony for the spirit of the death that settled in the process of sinicizing Buddhism became the ritual for the dead in Korean Buddhism. It enriched Buddhist culture as it was divided into various forms. However, it gradually got to be complicate and be weighted toward form. The modern Buddhist world tried to innovate this soul-delivering rituals. Won-Buddhism also tried to innovate the death rituals as well as informal courtesy as reform Buddhism, Engaged Buddhism, and Lay Buddhism. The body text discusses the origin of the soul-delivering rituals of Won-Buddhism and the background of its innovation. There was a change of innovating the entire rituals and building modern rituals in the Buddhist world in the period that Code of Rites of Won-Buddhism was created. Won-Buddhism also rebuilt the rituals under this influence and from a position of reforming Buddhism. The soul-delivering rituals can be modern innovation, but it modernized the fundamental spirit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more. This can clearly be found from the structure of the soul-delivering rituals. It inspires the spirit of Mahayana Buddhism to make the dead remove every karman(業) and find right enlightenment. However, the soul-delivering rituals of Won-Buddhism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Buddhism in that there is a great view to be born in human way(人道) as good ways(善道). It can be consideration to make the dead born in the human world, find enlightenment of immortality(不生不滅性) of souls through the teaching of the Buddha, and settle for the Buddha-land. This is done by rational thinking of the modern meaning. Finally, the soul-delivering rituals of Won-Buddhism can be found to have problems of neglecting the social structure and systematic limits and sublimating limitations of weak men as well as the high and deep teachings of the Buddha toward enlightenment by emphasizing individual karman on the basis of individual fateful causationism.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1.4.81.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