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atory considerations on tattoos from a religious studies perspective

문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며 본고는 거시적이고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몸 새김(tattoo)’을 탐구한다. ‘몸 새김’을 보는 관점의 변화와 경주하는 다양한 담론들을 분석하고, ‘사회적 몸’을 매개로 전달되는 우리 시대의 가치관과 구체적인 개인들의 행동에서 의미 있는 변화점들을 찾아내려고 한다. 신체변형과 피부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고, 그 안에서 문신이라는 문화적 실천 행위를 해석하는 종교학의 이론적 테두리를 마련한다.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한국 문신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한국사회에서 ‘몸 새김’을 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Choi, Jeong Hwa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0
In: Chongkyo yŏnku
Further subjects:B Material Religion
B subculture and religion
B 물질 종교
B 신체변형
B tattoo and religion
B 사회적 몸
B body modification
B social body
B 문신과 종교
B 하위문화와 종교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문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며 본고는 거시적이고 비교문화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몸 새김(tattoo)’을 탐구한다. ‘몸 새김’을 보는 관점의 변화와 경주하는 다양한 담론들을 분석하고, ‘사회적 몸’을 매개로 전달되는 우리 시대의 가치관과 구체적인 개인들의 행동에서 의미 있는 변화점들을 찾아내려고 한다. 신체변형과 피부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고, 그 안에서 문신이라는 문화적 실천 행위를 해석하는 종교학의 이론적 테두리를 마련한다. 20세기 초부터 현재까지 한국 문신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한국사회에서 ‘몸 새김’을 보는 시각의 새로운 결합태(figuration)를 찾는다. 전통 사회에서 문신이 형벌과 ‘비문명(非文明)’의 상징으로 이해된 것과 달리 오늘날 문신은 한 개인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서사를 몸을 통하여 구현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몸 새김’은 ‘일탈(deviance)’의 시기를 거쳐서 오늘날 신체를 통하여 자신의 가능성을 탐험하고, 남과 다름을 표현하는 ‘해방’으로 그 의미가 이동되고 있다.
Upon observing ‘the engraving of the body’ as a rapidly spreading phenomenon, this article approaches the practice of tattooing comprehensively from a comparative, cross-cultural point of view. Hereby an attempt is made at analyzing the alteration of perspectives and of the various competing discourses on ‘the engraving of the body’ and at tracing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the values and the specific individual practices of our time as they are communicated through the medium of the ‘social body.’ My objective is to grasp the various meanings attached to the human skin, provid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practice of tattooing from a religious studies perspective. By examining materials dealing with Korean tattooing practices from the early 20th century down to the present day, I am dealing with the task of detecting a new configuration in Korean society’s views on the ‘engraving of the body.’ Unlike traditional Korean society, in which bearing tattoos was understood as a sign of punishment and of being ‘uncivilized,’ in the present having tattoos is becoming a method of expressing and sharing through the body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e life of an individual. The ‘engraving of the body’ has passed through a time when it unambiguously signified ‘deviance’ and is currently becoming a way of exploring one’s own possibilities, while its meaning is shifting towards freedom of expressing one’s difference and uniqueness.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0.12.8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