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Unchurched among Catholic Young Adults

오늘날 세속 시대에 청년세대의 탈교회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간 이삼십대 가톨릭 청년 냉담은 개인적 선호 혹은 선택으로 취급되거나 신자들의 교회 부적응이나 신앙의 미성숙으로 파악되어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현상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톨릭 청년들이 왜 냉담하며 교회를 떠나는지, 그리고 탈교회화 이후 그들이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어떻게 구성하고 인식하는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해 가톨릭 청년 냉담자 2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Authors: Park, Jinhee (Author) ; Oh, Seil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0
In: Chongkyo yŏnku
Further subjects:B 세속화
B Catholic
B Young adults
B Secularization
B Religious Identity
B 종교적 정체성
B 가톨릭
B Unchurched
B 탈교회화
B 청년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오늘날 세속 시대에 청년세대의 탈교회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간 이삼십대 가톨릭 청년 냉담은 개인적 선호 혹은 선택으로 취급되거나 신자들의 교회 부적응이나 신앙의 미성숙으로 파악되어 청년들이 교회를 떠나는 현상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톨릭 청년들이 왜 냉담하며 교회를 떠나는지, 그리고 탈교회화 이후 그들이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어떻게 구성하고 인식하는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를 위해 가톨릭 청년 냉담자 2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들은 ‘자율적 선택’의 행위주체로서 바쁜 세상살이 속에서 종교적 의미의 유용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경우 교회를 떠나고 있었다. 성직자(종교권위)에 대한 상처, 형식적 의무 규정(미사참례)의 부담, 경직된 교리에 대한 반감 등은 ‘탈교회화’를 촉진시키는 교회내적 요인이 된다. 가톨릭 청년 냉담자들의 종교적 정체성 구성과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 정체성은 현재 종교생활을 하지 않더라도 가톨릭에 대해 호감을 유지하거나 교회의 권위를 높게 생각하여 회귀의 여지를 갖고 있다. 둘째, 탈교회적 정체성은 본인을 ‘무종교인’이라 표현하거나 무신론적 사고를 갖고 있는 경우, 혹은 교회를 등지는 부정적인 자세를 갖는다. 달리 가톨릭에 대한 부정적인 자세가 없다 하더라도 개인의 권위와 결정방식을 교회의 권위보다 더 중요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교회 바깥에서 영성적 가치를 찾기를 원하는 경우도 있다. 셋째, 유동성 정체성은 전통적 정체성과 탈교회적 정체성 사이에서 유동적인 경향을 드러낸다.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는 것에 대해 자신의 의사와 판단이 중요하지만 나 이외의 다른 사람과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정체성은 상황에 따라 달리 변화될 수 있다. 불확실성 아래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을 내·외부적으로 유보하며 고정시키지 않는 것이다. 종교적 세계관의 수용과 종교 생활의 경험에 따라 가톨릭 청년 냉담자들은 그들의 종교적 정체성을 각각 다르게 수용하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청년 가톨릭 신자의 냉담화 과정과 종교적 정체성의 재구성에서 나타나는 다양성과 그 변화의 역동성을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a secular age, the number of young Catholics has decreased. Few research has focused on young adults’ drop-outs from the Catholic church, emphasizing a mere private choice, mal-adaptation in the church, or immature faith.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analyze empirical reasons why young Catholics leave the church and how they try to construct their own religious identities. This study conducted 20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grounded theory. The findings report that young adults as social and subjective agency leave the church when they cannot find religious relevance in their busy life. In particular, hurt from church authorities (i.e., clergy), pressure of the formalistic ritual, antipathy about strict doctrines may entail the option for being ‘unchurched.’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three types of religious identifications. First those with a traditional identity still maintain a favor on the church, respecting the church authority and desiring to come back to the church. Second, those who have an unchurched identity pose their own authority over the church; some among them pursue spiritual values. Third, those with a fluid identity, situated between traditional identity and unchurched identity, do not try to fix but flexibly select their religious identity as they are open to take its advantage in a different circumstance. Those unchurched young Catholics tend to select and interpret their religious identity in accordance with their religious upbringings, experiences and reflections. In sum,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construction of various religious identity among Catholic young adults.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0.12.80.3.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