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nterpretation of Sajasangsǔng(師資相承): Focus on the Way and the Meaning of Bridging the Gap of Lineage in Sajasansǔng

본 연구는 한국불교에서 사자상승으로 대표되는 법맥(계맥(戒脈)·선맥(禪脈)·강맥(講脈)) 전승이 끊어졌을 때, 그것을 잇는 방식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맥에서 휴정의 ‘밀사’와 효봉의 ‘몽중법문’, 계맥에서 대은낭오와 금담보명의 ‘서상수계’, 강맥에서 명성의 ‘위패건당’ 사건을 선정하였다. 끊어진 전승을 잇는 방식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것이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특히 주목한 부분은 주체적 결단과 전승의 형식에 대한 창조적 재해석이다. 휴정은 자신의 사조되는 벽송지엄이 송대의 대혜와 고봉을 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Cheu, Eun-Bok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0
In: Chongkyo yŏnku
Further subjects:B Sǒangsugye(瑞祥受戒)
B 서상수계
B 사자상승
B Secret transmission(密嗣)
B Wupaekǒndang(位牌建幢)
B 몽중법문
B 밀사
B Dharma teaching in dream(夢中法門)
B Sajasangsǔng(師資相承)
B 위패건당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본 연구는 한국불교에서 사자상승으로 대표되는 법맥(계맥(戒脈)·선맥(禪脈)·강맥(講脈)) 전승이 끊어졌을 때, 그것을 잇는 방식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맥에서 휴정의 ‘밀사’와 효봉의 ‘몽중법문’, 계맥에서 대은낭오와 금담보명의 ‘서상수계’, 강맥에서 명성의 ‘위패건당’ 사건을 선정하였다. 끊어진 전승을 잇는 방식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것이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특히 주목한 부분은 주체적 결단과 전승의 형식에 대한 창조적 재해석이다. 휴정은 자신의 사조되는 벽송지엄이 송대의 대혜와 고봉을 밀사했다고 보았다. 그들의 어록을 통해 가르침을 받았다는 것이다. 효봉은 태고보우의 계보에 속한 인물이지만 꿈속의 법문을 통해 지눌의 법을 이었음을 선언했다. 금담과 대은은 끊어진 율맥을 잇고자 함께 기도에 들어가 서상수계를 감득했다. 금담은 대은의 스승이었음에도 서상수계를 목격하고 스스로 대은의 전계제자가 되어 계를 이었다. 명성은 이미 사망한 지 18년이 지난 수옥의 위패를 모셔놓고 건당 함으로써 비구니에서 비구니로의 강맥 전승을 이었다. 그것은 스승과 제자의 직접적인 만남과 인증이라는 사자상승의 조건에 대한 ‘창조적 재해석’이다. 그리고 그것을 가능하게 한 것은 그들의 ‘주체적 결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세는 불교뿐만 아니라 다른 종교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 해결에 영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하였다.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way and the meaning of bridging the gap of lineage in Sajasangsǔng. Sajasangsung(師資相承) is a way of designating successor of Dharma transmission between a teacher and a disciple in Buddhism. It has been the way of traditional designating of successor in Korean Buddhism. In the Zen master lineage,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secret transmission’ (密嗣) of Hyujǔng(休靜) and ‘Dharma Teaching in dream’(夢中法門) of Hyobong (曉峰). In the Ordination master lineage,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Sǒsangsugye (瑞祥受戒) of Daeǔnnango(大隱朗旿) and Kǔmdambomyǒng (金潭普明). In the Buddhist Scripture Teaching master lineage, Wupaekundang(位牌建幢, becoming the disciple of the teacher who was passed away in front of the mortuary tablet) of Myungsǒng is chosen for this study. Although Hyobong is the successor of the Taegobowu(太古普愚) lineage, after getting Dharma teaching in his dream, he asserted he would be the successor of Jinǔl’s lineage and his thought would follow Jǒnghyessangsu(定慧雙修). Kǔmdambomyǒng was the teacher of Daeǔnnango, but he volunteered to be the successor of his disciple Daeǔnnango after experiencing Sǒsangsugye that had happened to Daeǔnnango. Myungsǒng became the successor of Suok in front of her memorial tablet. The reason that I focus on the way of bridging the gap is that it may make us reinterpret the tradition creatively. Especially I figured out that the attitude of self-determination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bridging. I am interested in this attitude, self-determination and finding creative ways of recovering the lineage. Because it can give us an inspiration. Korean Buddhism which has faced a lot of problems can be inspired from it.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0.4.80.1.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