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ligious-Sociological Study on the Meditation Craze: With a Focus on Kathryn Tanner’s Postmodern Theory of Culture

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던 명상열풍에 관한 연구로서 명상열풍이라는 사회현상에 관한 분석뿐만 아니라 캐트린 테너의 문화이론을 바탕으로 명상열풍에 대한 한국 기독교계의 반응도 평가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첫째는 한국에서 명상열풍이 발생한 배경과 대중문화로서 명상의 저변이 확대된 이유에 관한 분석이다. 둘째는 캐트린 테너의 포스트모던 문화이론 소개와 함께 그것을 토대로 명상열풍이라는 하나의 문화 현상을 해석한다. 셋째는 캐트린 테너의 이론을 바탕으로 명상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Choe, Yong U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2
In: Chongkyo yŏnku
Year: 2022, Volume: 82, Issue: 2, Pages: 115-135
Further subjects:B 캐트린 테너
B Kathryn Tanner
B Meditation
B 포스트모던 문화이론
B sociology of religion
B 명상
B 종교사회학
B post-Corona era
B 포스트 코로나 시대
B postmodern cultural theory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본 논문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한국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던 명상열풍에 관한 연구로서 명상열풍이라는 사회현상에 관한 분석뿐만 아니라 캐트린 테너의 문화이론을 바탕으로 명상열풍에 대한 한국 기독교계의 반응도 평가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첫째는 한국에서 명상열풍이 발생한 배경과 대중문화로서 명상의 저변이 확대된 이유에 관한 분석이다. 둘째는 캐트린 테너의 포스트모던 문화이론 소개와 함께 그것을 토대로 명상열풍이라는 하나의 문화 현상을 해석한다. 셋째는 캐트린 테너의 이론을 바탕으로 명상열풍에 대한 한국 기독교계의 반응을 평가한다. 코로나 이전뿐만 아니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현시점에도 명상의 가치와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상황인점을 고려할 때 명상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모두 포괄하는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meditation craze" (K.mŏngsang yŏlp’ung) that had been spreading not just in South Korea but around the world as well, prior to the COVID-19 pandemic. It analyzes the social phenomenon referred to as the "meditation craze" and evaluates the reaction it has evoked in Korean Christianity, on the basis of the cultural theory of Kathryn Tanner. This paper comprises the following three sections. The first is an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the meditation craze in South Korea, as well as the reasons as to why meditation has broadened its scope in popular culture. Second,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anner’s postmodern cultural theory, the meditation craze which is a cultural phenomenon, is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Third, based on Tanner’s theory, the response of Korean Christianity to the meditation craze is evaluat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value and impact of meditation have been rising in the post-Corona era since COVID-19, research from a diversity of perspectives covering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meditation, will become necessary.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2.8.82.2.115